수업일지

3월 27일 수업(day4)

오직 2017. 3. 29. 11:19

수업시간에는 Donald Norman 의 저서에서 이루어졌던 affordance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였고,


아두이노에 부착이 가능한 다양한 센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종류의 감각 뿐만 아니라 적외선, 초음파, 습도 등도 측정할 수 있기에 용도만 상상할 수 있다면 활용범위는 매우 넓을 것이다.



실습은 지난번에 만든 가변저항 센서의 작동 테스트와 optical 센서를 이용한 led 밝기조절 회로를 만들어보았다.




먼저 지난 시간에 만들었던 회로의 작동 확인이다.

5볼트 핀에서 전압이 걸리면 가변저항의 변화에 따라 A0핀에 전압일 얼마만큼 걸리는지 확인할 수 있다



Serial.println함수로 sensorValue 변수가 출력되고 있다.

sensorValue는 A0핀에 걸리는 전압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측정한 값이기 때문에 0과 1024 사이의 값을 보여줄 것이다.

시리얼 모니터를 확인해보면 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회로를 다시 조립하고 코드를 바꿔준다.

교실의 환경상 빛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고 빛을 최대로 쐬여줄 수 없기 때문에 analogRead(A0)의 값은 100~650사이의 값을 보여준다.

이를 조금 수정해주기 위해 매핑함수를 이용해 650~100값을 1023~0 값으로 매핑시켜준뒤

ledValue 변수에 넣어준다.

결과를 보니 map함수는 float가 아닌 int를 리턴해주는 듯 하다.

 굳이 ledValue를 float로 쓰지 않고 int를 써도 되는 것 같다.




회로에 코드를 올려니 조도에 따라 led의 밝기가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