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번 시간에는 무선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아두이노의 액추에이터를 동작하게 하거나
반대로 아두이노의 센서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정보를 업로드하게 하는 기능을 사용해 보았다.
먼저 공유기를 통해 신호를 인가하여 아두이노를 동작하게 하는 방식을 확인해보겠다
아두이노에 bridge 예제를 아두이노에 올려준다.
아두이노를 공유기의 주소를 통해 접근하여 다음과 같은 주소에 들어가주면, 핀모드와 전압의 high low를 바꿔줄 수 있다.
주소로 접근하여 LED의 불을 켜본 결과 잘켜진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코드를 수정하지 않아도 외부에서 전압을 걸어주거나 낮춰줄 수 있다.
다음으로 야후의 날씨 표시 서비스를 활용하여 아두이노를 동작하게 해보겠다.
기본적으로 Temboo에서 야후가 제공하는 정보를 사용할 수 있게 코드를 제공해준다.
주어들은 지식으론 이런걸 API라고 하는 걸 들어본 것 같기도하다.
API가 뭔지 사실 잘 모르겠다.
제공된 코드는 일정지수 이상으로 습도가 올라가있는 상태면 9번 핀에 전압을 걸어주는 코드이다
코드를 잘 읽어보면 어느부분을 수정해야 코드를 원하는 대로 변형시킬 수 있을지 알 수 있다.
변수명들도 상당히 직관적이다.
9번핀에는 초록색 cathode를 꽂아놓았기 때문에 초록색으로 불이 들어온다
다음으로 트위터에 자동으로 글을 올리는 아두이노를 만들어보았다.
마찬가지로 temboo에서 이 기능을 제공해 주는데
statuses update를 통해서 글을 올릴 수 있다.
설정은 포텐셜미터로 1000이상의 값이 핀에 주어지면 그 값을 트위터로 업로드 하는 방식이다.
포텐셜 미터를 돌리면 해당 값이 트위터에 업데이트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수업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 22일 수업(day12) (0) | 2017.05.24 |
---|---|
5월 8일 수업(day10) (0) | 2017.05.10 |
4월 24일 수업(day8) (0) | 2017.04.29 |
4월 17일 수업(day7) (0) | 2017.04.19 |
4월 3일 수업(day5) (0) | 2017.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