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크기 계산 코드http://blog.naver.com/roboholic84/220801048809 푸쉬버튼 피아노 코드/회로https://www.kocoafab.cc/tutorial/view/92 프로세싱 소리출력 코드 minim library 이용http://visualize.tistory.com/231 ---------------------------------- 아두이노-mspmax 연결 사용https://www.youtube.com/watch?v=6bT3G4Mep7E https://docs.cycling74.com/max5/tutorials/max-tut/communicationschapter02.html ---------------------------------- http://www.dev..
원글 링크 http://www.tigoe.net/blog/category/physicalcomputing/405/ 글쓴이는 인터렉티브 아트와 작품 제작자의 관계는 마치 영화감독과 연기자의 관계와 같다고 설명한다. 감독이 방향성을 제시해줄 뿐 직접 일일히 연기자에게 특정한 감정과 연기를 지시하지 못하듯 (나는 이 비유가 마음에 안든다..) 인터렉티브 아트 역시 제작자가 디테일한 사항들을 모두 설명해주어서는 안 된다. 분명, 인터렉티브 아트는 기존의 예술작품들과는 다른 여러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일방향적으로 사람들에게 메시지를 던져주기만 하는 조각품이나 그림과 달리, 인터렉티브 아트는 감상자의 행동에 따라 다른 '반응'을 던져준다. 제작자는 이러한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사람일 뿐 대화자..
그동안 수업시간에 실습을할 시간이 충분하지 못했기에, 이번 수업은 전적으로 실습에 수업시간을 할애했다. 총 네 가지의 회로를 만들어보았는데, 1. 아두이노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푸쉬버튼이 눌린 횟수를 세주는 회로. 2. 3색 LED를 컨트롤하는 회로. 3. 피에조 부저를 사용한 회로. 4. 서보 모터를 조절하는 회로. 이렇게 네 개를 만들었다. 실습 내용을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자. 1. 푸쉬버튼 횟수 회로는 단순하니 코드를 살펴보자.캡쳐는 안되어있지만 당연히 buttonPin에 해당하는 핀쪽에는 풀다운 저항을 달아준 푸쉬버튼을 달아놓았다.loop부분을 보면, buttonPin에 전압이 걸리면 변수 buttonState가 바뀔 수 있게 설정해두었다.loop의 마지막에서 lastButtonState에 butt..
대략적인 작동의 방식은 갈피를 잡은 듯하다. 마이크를 analog input으로 받아주어 마이크 음량의 값을 아두이노에서 변수 micVolume으로 받아준다. 병옆에 붙인 푸쉬버튼 각각을 INPUT으로 설정한 pin에 받아주어서 어떤 버튼이 눌렸는지 확인하고 해당 버튼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피에조로 출력한다. 문제는, 피에조의 음량을 조절할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구글링을 해보았을 때 피에조의 음량을 조절할 방법은 가변 저항을 이용해 저항을 높혀주어서 피에조 부저가 보다 낮은 전압을 받게 하는 것 같은데, 내가 원하는 형태의 물건을 구현하려면 micVolume 값에 따라 저항이 바뀌어야 할텐데, 또 그 방법을 잘 모르겠다. 정 안되면 서보모터에 가변저항을 억지로 붙여서 micVolume 값에 따라 서보모터..
드디어 무언가 실현 가능할 것 같은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병나발을 모티브로한 작품이다. 위의 사진과 같이, 빈병의 입구 부분에 마이크와 피에조 부저를 설치해준다. 기본적으로 마이크에 큰 소리(병 입구를 후- 하고 불어줌)가 들어오면 piezo 부저에서 일정한 음이 나는데,마이크에 입력되는 소리에 따라 이 음량을 조절할 수 있을지는 조금 더 생각해 보아야 할 듯 하다. 빈 병으로 소리를 낼 때 더 세게 불어주면 더 큰 소리가 나는데, 그것을 구현하고 싶다. 또, 옆에있는 push 버튼으로 수업에서 본 영상처럼 키보드 역할을 하도록(그림에서 왜 검은 건반이 사라진건지 모르겠다) 빵판을 달아준다면마치 악기처럼 음 고저를 조절하면서 병을 불 수 있을 것이다. 최종적으로 실제 병나발을 부는 것과 비슷한 사용자 경..
2017/03/30 - [디벨로핑] - 컵홀더 아이디어컵홀더 아이디어를 구형해보고 싶어서 온습도 센서를 처음에 잡았지만도시당체 이 센서가 어떻게 작동하는 건지 코드를 보고 이해를 못하겠어서코드가 그나마 짧아보이는 초음파 센서로 다시 넘어왔다.정말 내 돌머리와 타협을 잘하는 것 같다.이러다 중간과제로 푸쉬버튼 누르면 led에 불만 들어오는 회로 제출하는건 아닐런지 걱정이된다. 예제에 나와있는 대로 회로를 작성하였다. int trig = 8;int echo = 9;int led = 3;void setup() { // put your setup code here, to run once: Serial.begin(9600); pinMode(trig,OUTPUT); pinMode(echo,INPUT); pinMod..
요즘 중간과제 생각 때문에 삼라만상에 의미를 부여하며 살고있다. 이 물건에서 인터렉티비티를 뽑아낼 수 있을까 저 물건에서 인터렉티비티를 뽑아낼 수 있을까 보는 물건마다 질문을 던지는 것 같다. 원래 일상 리듬을 유지하기위해 커피를 많이 마시지 않는 편이지만 수요일은 수업을 11시간 정도 듣는 날이기에 마지막 1830-2200 수업에는 커피를 느티나무에서 한 컵 사가곤 한다. 어제도 평소와 같이 따뜻한 카페라떼를 사가서 마시고 수업을 듣고 있는데 무언가 몽롱한 기분이 들더니 저 컵홀더가 눈에 들어왔다. 요즘 개인용 텀블러와 개인용 컵홀더도 들고다니는 사람들도 있는데, 단순히 열전도를 막는 일 외에도 다른 기능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컵홀더의 내측은 컵에 닿아있고 외측은 사용자의 손이 닿는 측면이다. ..
수업시간에는 Donald Norman 의 저서에서 이루어졌던 affordance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였고, 아두이노에 부착이 가능한 다양한 센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종류의 감각 뿐만 아니라 적외선, 초음파, 습도 등도 측정할 수 있기에 용도만 상상할 수 있다면 활용범위는 매우 넓을 것이다. 실습은 지난번에 만든 가변저항 센서의 작동 테스트와 optical 센서를 이용한 led 밝기조절 회로를 만들어보았다. 먼저 지난 시간에 만들었던 회로의 작동 확인이다.5볼트 핀에서 전압이 걸리면 가변저항의 변화에 따라 A0핀에 전압일 얼마만큼 걸리는지 확인할 수 있다 Serial.println함수로 sensorValue 변수가 출력되고 있다.sensorValue는 A0핀에 걸리는 전압을 아날로그..
내가 별로 안 좋아하는 사람 중 하나가 현실에서는 사회에 크게 관심이 없으면서 페이스북같은 sns에서 '불쌍한~를 위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라는 글에 좋아요를 누르는 사람들이다. 오히려 자신이 사회에 도움이 되었다고 착각을 하며 고통받는 사람들에 대한 인류공동체로서의 의식을 그런 얄팍한 수단으로 벗어던지는 것이 잘 이해되지 않는다. 아마 그런 것을 보며 연민의식을 느끼고 좋아요를 누르는 사람보다 공감은 못하지만 의무감에 기부와 같은 도움의 손길을 보내는 사람들이 세상에 더 도움되리라. 이에 대해 비판의식을 갖고 있는 것은 나뿐이 아니다. http://www.boredpanda.com/liking-isnt-helping-crisis-relief-singapore/ 위의 'liking istn't help..
2017/03/13 - [디벨로핑] - 버튼이 사용되는 인터렉티브 매체 예시2017/03/13 - [디벨로핑] - norman door 영상affordance에 대응되는 한국어는 '행동유도성'이다. 즉, affordance란 사물이 얼만큼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가를 의미한다. 이에 대한 논의는 앞선 포스팅에서 가볍게 다루어본적이 있다.norman door영상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문의 밀고 당기고하는 방식을 어떻게이와 반대로 anit-affordance는 특정한 행동을 방지하는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행동을 유도한다'라는 개념은 상대적인 개념이다.특정 행동유도적 디자인이 누군가에겐 사용하기 편리할 수 있지만, 다른 누군가에겐 어려울 수도 있다.'버튼이 사용되는 인터렉티브 매체 예시..